본문 바로가기

항해3

개발자 - 커뮤니티의 중요성? 국비학원의 백엔드 코스를 수료하며 개발자 커리어를 시작했다.학원에서 학습한 내용을 통해 동기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만드는 과정은 흥미로웠다. 하지만, 거기까지였다. 개발자가 커뮤니티에 참여했을 때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은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개발자를 업으로 삼는 많은 사람들이 커뮤니티 참여를 추천하며, 나 역시 이에 같은 생각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그동안 겪었던 경험을 돌아보며 커뮤니티에 참여하며 가졌던 생각을 돌아본다.   모각코 스터디모각코는 '모여서 각자 코딩'의 줄임말로 정해진 장소에 모여서 각자 해야할 작업을 하는 스터디를 의미한다.이름 그대로 프로젝트를 위한 코딩을 할 수도 있지만 회사 업무, 인강 및 서적을 통한 개발 공부 등 개인 시간을 투자해야하는 작업을 함께 할 수 있다. 다양한.. 2025. 4. 6.
[항해 플러스 백엔드] 마지막 회고 11월 30일, 가을의 마지막 토요일에 10주간의 여정이 끝을 맺었다.토요일마다 발제 강의를 듣고 평일에는 발제 내용을 학습하는 게 일상이 되었는 데, 이제는 제출할 과제가 없어 어색하다.매주 피곤하고 힘들어서 빨리 자유가 오길 바랐지만, 막상 끝나고 나니 허탈하기만 하다.   목표를 이루었는가?처음 생각한 목표의 50%를 달성했다. 항해 플러스를 시작할 때, 10주 동안 이루어야 할 3가지 목표를 세웠다.모든 과제 제출하기매주 진행되는 발제 주제 정리하기코치분들의 개발 노하우 배우기 모든 과제 제출하기매주 발제와 함께 과제가 제공되고, 과제 통과율에 따라 배지를 받는다는 안내를 받았을 때부터 블랙배지를 목표로 삼았다.해당 주차의 교육내용을 완전히 이해해야 통과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블랙배지는 .. 2024. 12. 11.
[항해 플러스 백엔드] 9주차 회고 (WIL) 이번 한 주동안 카프카를 다루었다.새롭게 접한 기술이었기 때문에 사용되는 개념을 학습할 때는 이해가 잘 안되었지만 hello world를 만들고 필요한 기능을 구현하면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   문제카프카의 주요 구성요소(Producer, Broker, Consumer)가 기능하는 프로세스를 이해했지만 공식문서만을 보고 구현하기는 어려웠다. 시도공식문서의 가이드에 따라 hello world를 구성해보았으나 진행과정을 제대로 따라가지 못했다. 가이드 문서에서 실행시키는 파일의 경로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해결Youtube의 강의 영상을 찾아 해결할 수 있었다. Kafka를 검색하면 Kafka의 목적이나 기능에 대한 설명 영상 뿐만 아니라 설정 및 사용하는 방법을 다루는 강의 영상이 존재한다. 알게.. 2024. 11. 25.